맨위로가기

개혁주의 학술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혁주의 학술원은 개혁주의 신학 연구 및 발전을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이환봉, 이상규, 이신열, 신득일 등이 역대 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원장은 황대우이다. 조직은 원장, 고문, 행정간사, 편집위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술위원은 연구, 교육, 섭외 분과로 나뉘어 활동한다. 학술원은 전시관과 전문도서관을 운영하며, 학술 발표 및 연구 활동을 진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단체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기독교 단체 - 네덜란드 개혁교회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1892년 분열된 두 그룹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신칼빈주의 신학을 따랐으나, 2004년 다른 교회들과 통합하여 네덜란드 프로테스탄트 교회가 되었다.
  • 칼뱅주의 신학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칼뱅주의 신학 - 기독교 강요
    장 칼뱅이 기독교 신학의 주요 교리를 체계적으로 해설한 "기독교 강요"는 1536년 초판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1559년 최종판이 완성되었으며, 프로테스탄트 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 개혁주의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개혁주의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개혁주의 학술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개혁주의학술원 로고
개혁주의학술원 로고
이름개혁주의 학술원
영문 이름Korea Institute for Reformed Studies
종류연구소
설립일2006년 5월 30일
총장이신열
위치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94
웹사이트개혁주의 학술원 웹사이트

2. 역대 원장

wikitext

대수이름재임 기간
1대이환봉 박사2006년 5월 30일 ~ 2010년 11월 27일
2대이상규 박사2011년 ~ 2014년
3대이신열 박사2014년 9월 1일 ~ 2018년 2월
4대신득일 박사2018년 3월 ~ 2019년 2월
5대이신열 박사2019년 3월 ~ 2023년 2월


2. 1. 1대: 이환봉 박사 (2006.5.30~2010.11.27)


  • 1대 원장: 이환봉 박사(2006.5.30~2010.11.27)

2. 2. 2대: 이상규 박사 (2011~2014)

개혁주의 학술원의 2대 원장은 이상규 (신학자) 박사이다. 재임 기간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이다.

2. 3. 3대: 이신열 박사 (2014.9.1~2018.2)

이신열 박사가 2014년 9월 1일부터 2018년 2월까지 제3대 원장으로 재임하였다.

2. 4. 4대: 신득일 박사 (2018.3~2019.2)

신득일 박사는 2018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개혁주의 학술원의 제4대 원장을 역임하였다.

2. 5. 5대: 이신열 박사 (2019.3~2023.2)

이신열 박사가 2019년 3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제5대 원장을 역임했다.

3. 조직

개혁주의 학술원은 원장, 고문, 행정간사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회지 편집위원회와 여러 분과로 구성된 학술위원회를 통해 연구 및 활동을 수행한다. 각 위원회의 상세 구성원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임원

직책이름
원장황대우
고문손봉호, 김영재, 이수영, 와다나베
행정간사김혜원
학회지 편집위원장황대우
편집위원김규섭, 김재윤, 김중락, 김진흥, 신승범, 사이츠마, 우병훈, 양신혜, 이상웅, 유정모, 이현철, 이신열



개혁주의학술원 김혜원 간사

3. 2. 학술위원


  • 원장: 황대우
  • 고문: 손봉호, 김영재, 이수영, 와다나베
  • 행정간사: 김혜원
  • 학회지 편집위원장: 황대우
  • 편집위원: 김규섭, 김재윤, 김중락, 김진흥, 신승범, 사이츠마, 우병훈, 양신혜, 이상웅, 유정모, 이현철, 이신열

  • '''연구분과'''

직책이름 (소속)
분과장우병훈 교수 (고신대)
분과위원강영안 교수 (서강대)
김진흥 교수 (시드니 신대)
문병호 교수 (총신대)
사이즈마 교수 (Tokyo Christian University)
유해무 교수 (고신대)
최윤배 교수 (장신대)
한성진 교수 (합신대)


  • '''교육분과'''

직책이름 (소속)
분과장황대우 교수 (고신대)
분과위원김병훈 교수 (합신대)
김홍만 교수 (S.R.S)
신국원 교수 (총신대)
안인섭 교수 (총신대)
이남규 교수 (합신대)
이성호 교수 (고신대)
이현철 교수 (고신대)
임원택 교수 (백석대)
주도홍 교수 (백석대)
이환봉 교수 (고신대 명예교수)


  • '''섭외분과'''

직책이름 (소속)
분과장이신열 교수 (고신대)
분과위원김재윤 교수 (아연 신대)
라은성 교수 (총신대)
안명준 교수 (평택대)
이상규 교수 (고신대)
이승구 교수 (합신대)
유태화 교수 (백석대)
이상웅 교수 (총신대)
이정숙 교수 (횃불트리니티)


4. 발표자

개혁주의 학술원에는 국내외 여러 신학자들이 발표자로 참여하였다.

4. 1. 대한민국


  • 한철하 박사: “신학의 원리와 방법”
  • 정성구 박사: “목회의 원리와 실천”
  • 안명준, 최윤배, 이승구, 이정숙, 이성호, 김병훈, 문병호, 박태현, 이양호
  • 주도홍, 박건택, 이양호, 조병재, 우병훈, 박재은, 김효남, 이수영

4. 2. 대한민국 이외 지역


  • 헤르만 셀더하위스 (아펠도른 신학교)
  • 엘시 매키 (프린스턴 신학교)
  • 폴 웰즈(Paul Wells|폴 웰즈eng) (장 칼뱅 신학교, Aix-en-Provence): “17세기 프랑스 교회들의 교회정치”[8]
  • 프랑크 A. 제임스 3세(Frank A. James III|프랑크 A. 제임스 3세eng, 미국 비블리칼 신학교 총장): “The Protestant Frontier: Where Preaching Meets Predestination”[9]
  • 와타나베 노부오(渡辺 伸夫|와타나베 노부오jpn, 일본 동경고백교회 담임목사, 전 아시아 칼빈학회장): “칼빈과 교회”[10]
  • 판 스파이커(Willem van 't Spijker|빌럼 판트 스파이커nld, 아펠도른 신학교): “칼빈 신학의 현대적 의의”, 와타나베 노부오(渡辺 伸夫|와타나베 노부오jpn): “개혁주의 사상의 현대적 의의”[11]
  • 존 헤셀링크(John Hesselink|존 헤셀링크eng): "칼빈의 성경론에서의 성령의 역할"
  • 존 톰슨(John Thompson|존 톰슨eng): "칼빈의 성경 해석: 초기 개혁주의적 고린도전서 주석에 있어서 전통과 혁신"

5. 시설

(내용 없음)

5. 1. 개혁주의학술원 전시관

개혁주의 학술원 전시관 입구


개혁주의 학술원 입구


개혁주의 학술원 전문도서관

5. 2. 개혁주의학술원 전문도서관


참조

[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29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29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29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29
[5] 웨이백 칼빈과 교회 https://books.google[...] 20181229
[6] 뉴스 칼빈의 성령론 http://book.naver.co[...] 2017-07-08
[7] 웹인용 LuxMundi』 (vol.26-No.1., March 2007. p. 25 https://web.archive.[...] 2018-12-29
[8] 뉴스 http://news20.busan.[...]
[9] 뉴스 http://news20.busan.[...]
[10] 뉴스 http://news20.busan.[...]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